식량안보 2

식량안보와 식량대란 각 나라별 대처

이상기후와 코로나로 인한 식량의 생산량이 줄고 이에 공급까지 차질이 생겼는데요 이에 식량안보 식량대란이라는 말이 점점 화두에 오르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 식량안보 식량대란이 발생 이유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자료(2021년 2월 10일 발표 기준) 곡물 가격은 계속 상승 중입니다 발생원인 1) 곡물 선물에 대한 투기가 증가 2) 중국과 인도의 육류 소비 증가에 따른 곡물 소비 증가 (www.kita.net 기사) [인도 톺아보기] 인도는 채식주의 국가가 아니다-무역뉴스 무역 관련 주요 국내 및 해외 뉴스, 최신 환율 전망 업데이트. www.kita.net 3) 갑작스러운 기후변화로 인한 작황 부진 4) 코로나로 인한 식량 공급망 차질 ⊙ 각 나라별 대처와 한국 각 나라별 식량 사재기가 심해질 가능성..

주린이 주식 일기 24 (희토류, 곡물대란, 식량안보, 백신접종, 의사총파업)

2월의 3번째 주 월요일의 장이 마감되었습니다 코스닥은 954.29 / 코스피는 3079.75로 마감되었네요 ⊙ 미·중 '희토류 전쟁' 이 중국의 화해로 끝날 것 같습니다 - 지난주 미중 무역의 화두로 떠오른 '희토류'에 대한 내용인데요 중국이 19일 발표에서 2021년 희토류 생산을 상반기에 1/4를 증산한다고 합니다 생산량은 6만 6000천 톤에서 ->8만 4000천 톤으로 증가 예정이라 합니다 이는 중국이 미국에게 화해의 제스처를 보낸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 곡물대란 식량안보 - 최근 곡물 가격이 많이 상승함에 따라 곡물대란 혹은 식량안보에 대한 화두가 되네요 원인으로는 크게 3가지로 나눠지는데요 1차적으로 잦은 가뭄. 폭염. 한파 등의 기상이변으로 공급이 어려워지며 가격이 상승하게 되었는데요 ..